■ 책 소개
아이를 키우며 매일 맞닥뜨리는
사소하지만 사소하지 않은 인권 침해 사례들
이 책은 양육 상황에서 일상적으로 발생하는 문제를 아동 인권의 관점으로 재해석하여 아동과 양육자를 돕기 위해 쓰였다. 인권 강사로 활동하고 있는 저자들이 강의에서 만난 수많은 부모에게 자주 받은 질문들을 구체적인 상황으로 제시한 뒤, 그 상황을 인권의 관점으로 새롭게 해석해 보고 그에 대한 설명을 더했다. 가상의 인물, 가공된 사연이지만 부모라면 누구나 겪어 보았을 사연이기에 크게 공감하고 그동안 아이를 어떤 시선으로 대했는지를 곱씹어 보게 될 것이다.
■ 저자
박명금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20여 년간 교육에 전념해 왔다. 현재는 대학에서 예비 유아 교사를 양성하면서 심리상담센터 교육소장, 교류분석 상담사, 교류분석 교육 영역 전문가로 아동과 부모, 교사 인권 보호를 위해 활동 중이다. 서울시교육청 부모행복교실 강사, 서울시 육아종합지원센터 놀이 컨설턴트, 국가인권위원회 영유아 분야 위촉 강사를 지낸 바 있으며, 세이브더칠드런 위촉강사로 아동 권리 교육을 하고 있다.
손민원
청소년들의 진로 상담을 하면서 폭력에 노출된 아이들을 만난 후로 이웃의 존엄한 삶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현재 ‘사단법인 사람사이로’ 상임이사이자 국가인권위원회, 세이브더칠드런의 위촉 강사로 강의를 하고 있다. 중앙일보, 한국여성경제신문, 서울여성가족재단 등 여러 매체에 약자와 소수자의 인권, 성 평등 관련 글을 연재하고 있다.
김보희
#1388 청소년모바일상담센터, 서울시립마포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등의 기관에서 상담과 강의를 하며 현장에서 청소년들과 부모를 만나 왔다. 국가인권위원회 위촉 강사를 거쳐 현재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아동 권리 교육 강사, 서울시 어린이 청소년 인권 강사로 활동하며 아동과 아동의 일상을 함께하는 직업군 종사자,양육자 대상으로 아동 인권 실현을 위한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김보선
안양여성의전화 성폭력·가정폭력 전화상담원과 인권강사, 국가인권위원회 위촉 강사, 법무부 소년보호위원으로 활동하였고 현재는 안양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아동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성장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세이브더칠드런 위촉 강사로 아동 권리 교육을 하고 있으며 교육청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 전문위원으로 활동하며 이 사회에 아동의 목소리를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김현정
세이브더칠드런에서 아동 권리를 처음 접한 뒤 국가인권위원회 위촉 강사를 거쳐 육아종합지원센터, 학교, 공공기관 등에서 부모, 교사, 아동들에게 아동 인권, 아동 권리 교육, 폭력 예방 교육 등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학대 피해 아동의 지원체계에 관심이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 경험한 아동 인권 문제를 고민하면서 현실에서 아동 인권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연구하고 있다.
■ 차례
들어가며
1부 영유아에게도 인권이 있을까?
1. 배가 고파서 우는 게 틀림없어요
2. 기저귀 떼는 것이 어려워요
3. 우리 아이는 과일 포비아
4. 언제까지 엄마 ‘껌딱지’ 할래?
5. 남의 물건을 자꾸 가져와요
6. 엄마를 지켜야 하는 아이
7. 체벌과 헤어질 결심
8. 지금부터 공부시켜야 할까요?
9. 여자답게, 남자답게?
10. 남매 전쟁? 육아 전쟁!
11. 친구 앞에서 표현을 못 하는 아이
2부 초등학생, 어리다고 얕보지 마세요
1. 야구장의 무법자
2. 아이의 창의성을 키우고 싶어요
3. 차별의 씨앗
4. 애들은 들어오지 말란 말이야!
5. 멋에 살고 멋에 죽는 아이
6. 유튜브가 뭐길래
7. 나는 ‘주린이’ 너는 ‘요린이’?
8. 더 놀고 싶은 아이
9. 언니와 동생, 이래도 괜찮은 걸까요?
10. 아빠가 좀 힘든 상황이야
11. 아이의 사생활도 지켜 줘야 하나요?
12. 엎질러진 물을 어떻게 담아야 할까요?
13. 혹시 학교 폭력일까?
3부 청소년 인권을 말하다
1. 그런 애랑 놀지 마라
2. 천국 갈래, 지옥 갈래?
3. 엄마를 닮아서 미운 아이
4. 성적보다 소중한 너!
5. 우리 가족은 ‘호모 스마트쿠스’
6. 어쩌다 성교육 말고, 제대로 성교육
7. 엔진은 페라리, 브레이크는 자전거
8. 울음으로 모든 걸 표현하는 아이
9. 무조건 공부나 해
나가며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