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우리나라 최고의 답사가가 꼽은
‘죽기 전에 가봐야 할 명승고적’
“길을 가다 멈춘 곳에 이야기가 있다”
책상머리에서 벗어나 전국을 누비며 마주한 내 인생의 장소
그동안 우리 사찰 속에 그림과 조각으로 존재해 온 신비로운 존재들은 물론, 그 용도나 의미를 알지 못했던 사찰의 문화유산에 관해 소개하며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 온 ‘우리나라 최고의 답사가’ 노승대 작가의 신간이 출간되었다.
이번 책은 저자가 전국 팔도를 누비며 두루 답사한 지난 42년을 되돌아보며 꼽은 ‘내 인생의 장소’에 관한 인문 여행 에세이로, 삼척, 안동, 남원 등 16개 지역의 명승지와 고적, 문화유산에 관한 역사와 그곳이 품은 시간, 기억, 정서를 함께 담아냈다.
저자는 장소의 유명세보다 공간이 가지고 있는 특별한 이야기를 중심으로 이 책을 구성했다. 특히 인터넷 검색, 문화유산 안내문 등을 통해 접할 수 있는 도식화된 정보 너머, 잘 알려지지 않은 ‘살아 있는 역사’에 관해 이야기하고자 하였다. 이는 답사지에서 마주한 도반과의 옛 기억, 사라진 숲길에 대한 회고, 산장에서 만난 산꾼과의 추억 등과 만나 더욱 따뜻하고 흥미진진해진다.
역마살이 이끄는 대로 걷고 걷다 발길이 가장 오래 머문 곳에 대한 기록. 이 책은 도시의 소음보다 작은 마을 한 귀퉁이에 자리한 돌장승의 기억에 귀 기울이고, 사람이 찾지 않아 풀이 무성한 절터에 숨겨진 사연을 더듬는 느린 여행을 권한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겉핥기식 관광이 아닌 깊이 있는 인문 여행의 매력을 되새기게 될 것이다.
■ 작가정보
노승대
경기도 양주에서 출생했다. 1975년 입산해 광덕 스님을 은사로 모셨으며 10여 년 뒤 하산했다. 구도의 길에서는 내려왔으나 그 길에서 찾았던 ‘우리 문화’에 대한 열정은 내려놓지 않았다. 에밀레박물관 조자용 관장님께 사사하며, 관장님이 돌아가실 때까지 18년간 모셨다. 1993년부터 문화답사모임 ‘바라밀문화기행’을 만들어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으며, 2000년부터 7년간 인사동문화학교 교장을 맡기도 했다. 인사동문화학교 졸업생 모임인 ‘인사동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 회원들과도 전국 문화답사를 다니고 있다. 그는 가족 같은 동호인들과 함께 우리 문화유산을 답사하고 공부하는 것을 금생의 의무라고 생각하고 지금도 항상 길 위에 있다.
답사 틈틈이 〈불광〉, 〈사람과 산〉, 〈템플스테이〉 등에 우리 문화와 관련된 글을 기고하여 왔으며, 저서로 『사찰에 가면 문득 보이는 것들』, 『사찰 속 숨은 조연들』, 『사찰에는 도깨비도 살고 삼신할미도 산다』, 『바위로 배우는 우리 문화』가, 공저로 『나를 채우는 섬 인문학, 강화도』, 엮은 책으로는 『도깨비 문화』가 있다.
■ 목차
어촌과 산촌이 어울린 바닷가 고을 | 강원도 삼척
봄빛 호수 길 따라 세 절을 순례하다 | 전라북도 완주
추풍령 넘어 수행자들의 야무진 터전 | 경상북도 김천
충절과 절개로 피어난 지리산 자락 큰 고을 | 전라북도 남원
풍설을 견딘 소나무처럼 제 자리를 지킨 고찰과 서원 | 경상북도 안동
속리산에 불법이 머무니 삼년산성에 함성 소리 끊겼네 | 충청북도 보은
아리랑은 영남루를 휘감고 의열은 강물처럼 흐르네 | 경상남도 밀양
명산엔 명찰이 깃들고 고을 곳곳엔 당산이 섰네 | 전라북도 부안
올곧은 수행자의 귀의처, 뜻 잃은 선비들의 터전 | 설악산
천불 천탑의 염원과 천년 고을의 풍모 | 전라남도 화순ㆍ나주
옛길에서 만나는 백제의 숨결 | 충청남도 서산
남한강가에 늘어선 옛 절터들 | 경기도 여주ㆍ강원도 원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