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문화는 곧 권력임을 보여주는, 현대 중국 문화산업의 전략과 야망에 대한 날카로운 탐구
중국은 이제 단순한 경제 대국을 넘어 게임, 드라마, 영화, 애니메이션, 공연 등 문화 전 분야에서 세계적 성과를 만들어내고 있다.
이러한 흐름 뒤에는 ‘문화자신감’을 내세우며 문화를 국가 전략의 핵심으로 끌어올린 시진핑 시기의 정책 기조가 자리한다. 문화산업은 오락을 넘어 가치관과 이념을 전파하는 수단으로 작동하며, 동시에 국가 브랜드를 강화하는 도구로 활용된다.
『현대 중국의 문화산업 읽기』는 이러한 변화의 궤적을 산업별 사례와 정책의 흐름 속에서 치밀하게 보여준다. 이를 통해 독자는 문화가 권력과 맞물릴 때 어떤 방식으로 세계 질서를 흔드는 힘으로 작동하는지 깊이 이해하게 된다.
■ 저자 김창경 외
김창경은 중국 북경대학교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국립부경대학교 중국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쉽게 이해하는 중국문화』(공저), 『중국문화의 이해』(공저), 『중국문학의 감상』(공저) 등이 있고, 주요 역서로는 『단절』, 『해상용병: 17세기 중국해에서의 전쟁, 무역 그리고 해적』(공역), 『해양문명론과 해양중국』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중국의 해양인식 변화와 해양교육에 관한 연구」(공저), 「중국의 ‘신시대 중국 특색의 해양문화’ 건설에 관한 연구」(공저), 「창조도시 부산 조성을 위한 지자체의 문화정책 방향-국내외 ‘창의문화도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공봉진은 국립부경대학교에서 국제지역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국립부경대학교 중국학과 강사, 동아대학교 정치외교학전공 강사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권으로 읽는 중국문화』(공저), 『21세기 중국! 소통과 뉴 트렌드』(공저) 등이 있다. 주요 역서로는 『해상용병: 17세기 중국해에서의 전쟁, 무역 그리고 해적』(공역)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중국식 현대화’가 한국에 주는 함의」, 「중국 시진핑 법치사상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신시대 중국 시기의 ‘펑차오 경험(楓橋經驗)’ 현상에 대한 정치 사회적 함의」(공저), 「중국의 해양인식 변화와 해양교육에 관한 연구」(공저) 등이 있다.
안승웅은 중국 상해복단대학에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국립부경대학교 중국학과와 부산대학교에서 강사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쉽게 이해하는 중국문화』(공저), 『시진핑 시대, 중국 종교정책과 신종교사무조례』(공저) 등이 있다. 주요 역서로는 『해상용병: 17세기 중국해에서의 전쟁, 무역 그리고 해적』(공역), 『바다가 어떻게 문화가 되는가』(공역), 『서유기 81난 연구』(공역)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沈從文과 靑島의 해양문화」, 「무협영화로 ‘동사서독’ 읽기-강호를 벗어난 협의 사랑과 고독」, 「반부패소설 『창랑지수』를 통해 본 중국과 중국 지식인」, 「沈從文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 「沈從文 소설의 화자 연구」 등이 있다.
이강인은 중국 상해복단대학에서 문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현재 부산외국어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대학 소속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중국 대중문화와 문화산업』(공저), 『중국지역문화의 이해』(공저), 『시진핑 시대의 중국몽: 부강중국과 G1』(공저), 『중국 현대문학작가 열전』(2014), 『21세기 중국! 소통과 뉴 트렌드』(공저), 『중국문화의 이해』(공저), 『중국 문학의 감상』(공저), 『중국공산당이 세운 신중국! 중화민족에 빠지다』(공저) 외 다수가 있다. 주요 역서로는 『해상용병: 17세기 중국해에서의 전쟁, 무역 그리고 해적』(공역)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학교 장치에서 보이는 영화의 교육-권력과의 규율: 권력의 의미적 탐색」, 「중국문학과 노벨문학상의 의미적 해석: 가오싱젠과 모옌을 중심으로」, 「TV드라마에서 보여지는 중국 도시화에 따른 문제들에 대한 小考」 외 다수가 있다.
■ 차례
제1부 중국 문화산업의 현황과 문화정책
1. 문화산업, 스토리텔링, 문화원형
1) 문화산업의 정의와 특징
2)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의 개념과 종류
3) 문화원형과 문화콘텐츠 개발
2. 중국 문화산업의 변천과 분류
1) 중국 문화산업의 변천
2) 중국 문화산업 원칙과 분류
3) 중국 문화산업 향유 세대
3. 시진핑 시기 문화정책
1) 문예강화
2) 문화정풍운동
3) 시진핑 문화사상
제2부 중국 영상산업
1. 중국 드라마
1) 중국 드라마 역사와 발전
2) 중국 드라마 제작 방식과 환경 변화
3) 한국 드라마 중국 진출과 한중합작 드라마
4) 중국 드라마 산업 관련 정책
2. 중국 영화
1) 중국 영화의 역사와 발전
2) 주요 영화감독, 영화촬영소, 영화제
3) 한중 합작영화
4) 중국 영화산업 관련 정책
3. 중국 애니메이션
1) 중국 애니메이션의 역사와 발전
2) 한국 애니메이션의 중국 진출과 한중 합작 애니메이션
3) 중국 애니메이션산업 관련 정책
제3부 중국 공연ㆍ게임ㆍ인터넷 산업
1. 중국 공연
1) 중국 공연산업의 역사
2) 주요 지역 공연문화
3) 한중 합작 공연
4) 중국 공연산업 관련 정책
2. 중국 게임산업
1) 중국 게임산업의 역사와 현황
2) 중국 e스포츠
3) 중국 게임산업 관련 정책
3. 중국 인터넷 산업
1) 중국 숏클립과 라이브방송
2) 중국 인터넷 기업과 문화엔터테인먼트 산업
3) 중국 인터넷방송 산업 관련 정책
제4부 중국 문화원형과 문화콘텐츠
1. 중국 특색 문화원형의 사회문화적 배경
1) 중단 없는 오랜 역사
2) 한자 문화
3) 유·불·도의 전통사상
2. 신화전설
1) 산해경
2) 삼황오제
3) 양산백과 축영대
4) 백사전, 우랑직녀, 맹강녀
3. 역사 인물
1) 진시황
2) 양귀비
3) 포청천
4) 황비홍
4. 문학
1) 삼국지
2) 서유기
3) 수호전
4) 현대 무협소설
5. 중국 문화원형의 현대적 의미
1) 전통 신화와 전설의 현대적 재해석
2) 문화원형으로서 역사 인물의 역할과 현대적 의미
3) 창작의 원천으로서 문학 작품의 문화적 가치
제5부 문화생활의 새로운 공간
1. 도시재생과 관광의 결합
1) 세계의 도시재생 현황
2) 중국 도시재생의 역사
3) 중국 공업단지의 재생과 관광
2. 중국 문화창의산업단지와 주요 사례
1) 문화창의산업단지
2) 베이징, 상하이 등의 공업단지 도시재생
3) 후퉁, 시주룽의 문화공간 재생
3. 문화유산의 고품격 관광산업
1) 중국 문화유산의 관광자원화
2) 중국 고성의 주요 사례
4. 문화콘텐츠로서의 현대적 의미
부록: 문화산업 관련 주요 5개년 규획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