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소크라테스, 장자, 간디, 아인슈타인, 연암과 다산, 사리뿟따와 붓다
세계적 현자들의 가르침, 죽음을 받아들이는 지혜 탐구
보통 우리가 ‘죽음’이라는 단어를 대할 때면 어둡고 무거운 느낌을 피할 수 없기 마련이다. 자신과는 관련이 없는, 그리고 뭔가 결코 가까이하고 싶지 않은 없는 사건이기도 하다.
그런 외면하고 싶은 죽음을 현자들이라 불리며 지금까지 사람들의 존경을 받는 그들은 과연 어떻게 받아들였을까. 여기에 대한 그들의 지혜를 빌리면 우리도 좀 더 다른 자세로 죽음을 바라볼 수 있고, 그 죽음을 향해 나아갈 준비를 할 수 있지 않을까.
겉으로 보기엔 이들은 시대도, 문명권도, 인생 경로도 다 다르지만 우리는 이들을 이미 너무 잘 알고 있다. 삶의 지혜와 비전을 온몸으로 구현해 낸 위대한 스승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들의 죽음에는 공통점이 있다. 생사의 관문을 지극히 경쾌하게 통과했다는 것. 그들에게 있어 죽음은 크나큰 휴식이며 평화이자 지복이었다. 우리가 생각하는 죽음과는 달라도 너무 다르다. 어떻게 이런 반전이 가능한가? 무엇보다 그들에게 죽음은 삶의 반대편이 아니었다. 죽음은 벗이었고, 동반자였으며, 생의 이면이었다. 하여 그들은 언제든 어디서든 죽을 수 있는 존재로 살아갔다. ‘죽을 수 있는 존재로 살아간다’는 것, 참 멋진 패러독스다. 이 역설이 가능해지려면 무엇보다 삶에 대한 통찰이 심오해야 한다. 삶이 심오할수록 죽음은 한없이 가벼워진다. 그래서인가. 죽음을 대하는 이들의 태도는 더할 나위 없이 명랑하다! 덕분에 알게 되었다. 심오해야 명랑할 수 있고, 명랑함은 심오함의 원천이라는 것을!
독자들은 이 책과 함께 이들이 어떻게 죽음을 아득한 나락 혹은 깜깜한 어둠으로의 침몰이 아니라 ‘빛 혹은 평화’로의 비상으로 만들 수 있었는지 그 지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고미숙
저자 고미숙은 고전평론가이며 강원도 함백 출신이다. 고려대학교에서 고전문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감이당 & 남산강학원에서 ‘밥과 친구와 생사의 비전’ 등 거의 모든 것을 해결하고 또 탐구하고 있다. 그동안 낸 책으로는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을 비롯한 열하일기 3종 세트, ‘공부의 달인 호모 쿵푸스’를 비롯한 달인 4종 세트,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삶의 비전을 찾아서’를 비롯한 동의보감 4종 세트, 근대성 3종 세트, 그 외에 ‘고미숙의 로드클래식, 길 위에서 길 찾기’, ‘조선에서 백수로 살기’, ‘읽고 쓴다는 것, 그 거룩함과 통쾌함에 대하여’, ‘몸에서 자연으로, 마음에서 우주로 with 동의보감 & 숫타니파타’ 외 다수가 있다. 가장 최근에 낸 책으로는 ‘청년 붓다, 바람과 사자와 연꽃의 노래’가 있다.
■ 차례
책을 열며. 죽음을 탐구하라 _ 명랑하고 심오하게!
Intro. 죽는 법을 배우라, 그러면 사는 법을 알게 되리라!
1장 소크라테스: 철학은 죽음의 연습이다
1. 소크라테스의 독배 _ 비극 혹은 지복?
2. 죽음에 대한 변론 1 _ 소멸 아니면 옮겨 감
3. 죽음에 대한 변론 2 _ 삶과 죽음은 순환한다
4. 죽음에 대한 변론 3 _ 영혼은 불멸한다
5. 철학자, 죽음을 탐구하는 존재 _ 로고스의 향연
6. 영혼을 잘 돌보라, 선과 지혜로! _ 윤리적 축의 대전환
7. 최후의 말, 최고의 선물 _ “수탉 한 마리를 빚졌으니 갚아 주게나”
2장 장자: 천지라는 큰 집에서 편히 쉬고 있을 뿐!
1. 아내가 죽었다, 질장구를 치자! _ 슬픔에서 통찰로
2. 생로병사는 ‘봄, 여름, 가을, 겨울’ _ 생리와 심리, 물리의 삼중주
3. 양생술, 생명의 기예 _ ‘사이’에서 존재하라
4. 오직 생성, 오직 변화뿐! _ “천지 만물이 ‘나’로 살아간다”
5. 바보야, 문제는 이분법이라니까! _ 해골의 즐거움과 자유
6. 양생의 에티카 _ 심재와 덕충
1) 자아를 굶겨라 [심재]
2) 애태타, 참을 수 없는 존재의 매혹 [덕충]
7. 운명애(Amor Fati) _ 충만한 신체, 충만한 대지
3장 마하트마 간디: 오, 라마! 죽음은 영광스러운 해방이다
1. 1948년 1월 30일 오후 5시 5분 _ 세 발의 총탄과 연꽃의 화환
2. 암살범의 최후진술 _ “나는 결코 후회하지 않는다!”
3. 오직 한 걸음씩! _ 사탸그라하(Satyagraha)
4. 진리와 기쁨의 정치경제학 _ 브라마차리아(Brahmacharya)
5. “나의 삶이 곧 나의 메시지다” _ 걷기, 굶기, 쓰기
6. ‘마하트마’의 ‘위대한’ 패배 _ “그날 간디는 그곳에 있지 않았다”
7. 죽음은 영광스러운 해방이다! _ 신의 손 안에
4장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이 한 번의 생으로 충분하다
1. 인생은 ‘자전거 타기’와 같다 _ 역마와 우정의 달인
2. 아인슈타인과 전쟁 _ “내 생애 가장 행복했던 생각”
3. “나는 우아하게 떠나겠다” _ 유일한 구원은 유머 감각뿐!
4. 뉴턴의 ‘우주’를 해체하다 _ ‘시공간(space-time)’의 탄생
5. 양자 역학과 ‘주사위 놀이’ _ 운명의 기묘한 엇갈림
6. 지성에서 영성으로! _ 에딩턴과 스피노자, 그리고 간디
7. “이 한 번의 생으로 충분하다” _ 모두의 미소와 안녕을 위해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편’ 에필로그 _ 아인슈타인의 뇌는 어떻게 생겼을까
5장 연암 박지원: 죽음은 도처에 있다
1. 내 이제야 ‘도’를 알았도다! _ 물이 옷이 되고 몸이 되고 마음이 되는
2. 죽음에 대한 단상 1 _ 죽음은 도처에 있다
3. 죽음에 대한 단상 2 _ 삶은 요행이다
4. 죽음에 대한 단상 3 _ 모든 인연은 악연이다
5. 글쓰기, 애도와 치유의 ‘레퀴엠’ _ 묘비명의 달인
6. 노년의 지혜, 노년의 자유 _ 고추장 작은 단지를 보내니
7. 벗들이 이야기하는 소리를 들으며 _ “살았노라!”
6장 다산 정약용: 먼 훗날 역사가 증언하리라!
1. 이토록 ‘복된’ 죽음이라니! _ ‘다홍치마 다섯 폭’의 추억
2. 저 높은 곳을 향하여! _ ‘중심’을 향한 무한 질주
3. 죽음의 무도 _ 끝없는 순교의 행렬
4. 천주와 군주 ‘사이’ _ 이카로스(Icaros)의 비상과 추락
5. 화려한 귀향, 쓸쓸한 노년 _ 마침내 ‘목민심서’!
6. ‘자찬묘지명’에 담긴 뜻은? _ “나는 증언한다!”
7. 백 세 뒤를 기다리겠노라! _ ‘다산’이라는 이름의 탄생
7장 사리뿟따: 다시는 오고 감이 없으리니!
1. 마지막 여행이 시작되었다! _ ‘상수제자’의 운명
2. 스승과의 작별 인사 _ “다시는 만날 일도, 스칠 일도 없습니다”
3. 사리뿟따, 그는 누구인가? _ 환락에서 구도로!
4. 지혜제일, 법의 장군 _ “연기를 알면 여래를 본다”
5. 어머니를 깨달음의 길로! _ 불사의 지혜
6. 붓다의 찬탄 _ ‘대지처럼 굳건하고 아이처럼 유순한’
7. 윤회의 수레바퀴가 마침내 멈추었다 _ 축복 혹은 광명
8장 붓다: 용맹정진하라!
1. 열반으로 가는 머나먼 여정 _ 죽음에 대한 최고의 형식
2. ‘바이샬리여, 안녕히!’ _ 코끼리가 뒤를 돌아보듯이
3. 아난다의 비탄 _ ‘스승의 주먹’은 없다!
4. 쭌다의 마지막 공양 _ 가장 치명적인, 그럼에도 가장 고귀한!
5. 사라쌍수에 꽃들이 피어나고 _ “최고의 예배는 수행이다”
6. 벗이 벗에게 물어보듯이 _ 머무름 없이 나아가라!
7. 니르바나, 고요와 평정 _ 완벽한 소멸, 완전한 자유
에필로그. 모든 생은 죽음으로부터 온다! _ I will be 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