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EBS ‘위대한 수업’ 출연, 우울장애 연구의 거장 린다 개스크,
자신의 우울을 펼쳐 보이다
이 책은 정신과 의사인 저자가 자신의 우울증을 숨기지 않고 솔직하게 고백하며 ‘우울증이란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음’을 드러내고 ‘도움을 청하는 것은 용감한 일’임을 누구보다 강렬하고 설득력 있게 전한다.
이 책의 독특한 점은 삶을 회고하는 방식이 ‘상담’을 통해서라는 점이다. 내담자로서 자신이 받았던 상담, 정신과 의사로서 환자들에게 행했던 상담. 책에서는 이 두 가지 다른 관점의 상담이 과거와 현재, 의사와 환자 사이를 오가며 진행된다.
환자이자 의사이며 학자로서 이야기하는 우울은 편안하고 꾸밈없으면서도 다정하다. 이유 모를 우울에 빠졌을 때, 혹은 우울이 내 생활을 좀먹고 있을 때, 그녀를 만나면 좋겠다.
■ 저자 린다 개스크
저자는 의학학사, 이학석사, 박사, 왕립정신의학회 회원, 왕립일반의사협회 회원이다. 스코틀랜드 출신 어머니와 잉글랜드 출신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나 잉글랜드 동해안의 링컨셔주에서 자랐다. 에든버러 의대를 나왔고, 현재 맨체스터 대학교 1차 의료정신과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잉글랜드 북부에서 25년간 정신과 고문의로 일했다. 지금은 반퇴직 상태로, 페나인산맥 지역의 돌로 지은 집에서 남편과 고양이와 살고 있지만 오크니섬에서도 점점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자신의 전문 분야에서 많은 존경을 받고 있으며, 대학 교재로 쓰이는 책 몇 권을 쓰기도 했다. 의사, 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우울증, 기타 흔한 정신건강 문제에 관한 교육과 연구로 국제적 명성을 얻었다. 세계보건기구(WHO) 고문과 세계정신의학협회(WPA) 위원으로 일했으며, 180편 이상의 글을 전문지와 책에 기고했다. 2010년에는 정신건강 1차의료 교육에 평생 헌신한 공로로 왕립일반의사협회 명예회원으로 추대되었다.
저자는 10대 때부터 정신건강 문제를 겪어왔고, 우울증의 약물치료와 심리치료를 모두 직접 경험했다. 본인의 문제를 숨김없이 터놓음으로써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적 편견에 적극적으로 맞서고 있다. 환자이면서 전문가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신질환자와 ‘건강한’ 사람을 엄격히 구분하는 사회적 통념에 의문을 제기한다.
■ 역자 홍한결
역자 홍한결은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와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을 나와 책 번역가로 일하고 있다. 쉽게 읽히고 오래 두고 보고 싶은 책을 만들고 싶어 한다. 옮긴 책으로 ‘인듀어런스’, ‘오래된 우표, 사라진 나라들’, ‘소리 잃은 음악’, ‘아이들의 왕 야누시 코르차크’, ‘인간의 흑역사’, ‘책 좀 빌려줄래?’, ‘신의 화살’, ‘어른의 문답법’ 등이 있다.
■ 차례
한국어판 서문 - 우울을 겪는 사람과 그들을 돕고 싶은 사람들을 위하여
프롤로그
취약성
두려움
상실
상처
틀어진 계획
사랑과 망상
외로움
신뢰
강박
정신병원
항우울제를 먹을 것인가
과거 마주하기
전이
소통
애도
현재에 살기
에필로그
용어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