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너와 나, 우리가 맞닥뜨린 현대 사회의 초상화
그 속에서 삶의 의미를 찾다
삶의 의미를 잃고 온라인 게임에 빠지며, 외모에 불안함을 느끼고, 내 집 마련에 집착하는 시대. 우리는 모두 현대 사회의 복잡한 문제들 속에서 숨 가쁘게 살아가고 있다. ‘사회병리학’이라는 이름 아래, 저자 멍칭옌은 이러한 문제의 뿌리를 찾아가는 여정을 시작한다. 이 책은 단순히 학문적인 연구 성과를 나열하는 대신, 우리의 일상과 직접 맞닿아 있는 13가지 사회 현상을 탐구한다. 외모 강박, 알고리즘에 잠식된 일상, 끊임없는 소비 욕망, 스마트폰 중독 등 현대인을 괴롭히는 문제들을 낱낱이 파헤친다. 이 과정에서 개인과 사회, 그리고 삶의 균형을 되찾기 위해 사회학이 제시하는 관점과 통찰을 제공한다.
저자는 사회학을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답하는 것이 아니라, “왜 이런 일이 일어나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는 학문으로 정의한다. 이 책은 복잡한 수학적 모델이나 추상적인 이론을 내려놓고,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문제를 설명한다. 저자는 독자들에게 스스로의 삶을 더 깊이 이해하고, 세상을 관찰하는 새로운 관점을 선물한다.
■ 저자 멍칭옌
중국 정법대학 사회대학원 박사 지도교수. 2003년 난징대학 사회학과에 입학한 후 중국 정법대학과 칭화대학에서 각각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2014년 7월부터 지금까지 중국 정법대학 사회대학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대표작 『원류: 사물의 기원과 발전』이 중국 대표 온라인 서점 당당왕에서 사회학 분야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팟캐스트 ‘동창시땨오’에서 「사회병리학」, 「산하기」 코너의 패널로 활동 중이다. 오디오 플랫폼 ‘히말라야’에서 진행하는 「인문 교양 상식 100강좌」의 사회학 코너를 담당했으며, 팟캐스트 ‘칸리샹’의 「현대세계 500년: 무엇이 지금의 우리를 만들었는가」의 시즌1 강의를 맡아 진행했다.
■ 역자 하은지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에서 국제회의 통역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삼성전자 중국 법인에서 동시통역사로 일했으며, 국내 유수 기업에서 출강 및 기타 번역, 통역 업무를 담당했다. 사랑하는 남편, 두 딸과 긴 중국살이를 마치고 조국에 돌아와 적응 중이다. 번역 에이전시 엔터스코리아에서 중국어 전문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주요 역서로는 『인생에서 8가지 일에만 집중하라』, 『상위 1%는 빨리 걷는 사람과 일하지 않는다』, 『어른이 되기 전에 꼭 한 번은 논어를 읽어라 1, 2』, 『호감 가는 말투에는 비밀이 있다』 외 다수가 있다.
■ 차례
추천사 _ 당신의 문제를 함께 풀어가는 시간
프롤로그 _누구의 문제인가
1장 추상의 시대, 우리는 어디에 서 있는가
1. 현대인의 공허, 삶의 의미를 찾지 못하는 이유
. 인생이란 먹고 죽으려고 사는 여정이다
. 삶의 의미, 나 혼자만의 것이 아니다
. 허무한 마음을 짊어지고 살아가는 현대인들
. 삶, 누가 낸 문제길래 이리도 어려운지
2. 디지털 덫에서 탈출하기, 게임 중독의 심리
. 중독, 그것은 우리의 내면에 세팅된 습관이다
. 하나의 ‘신체 기관’이 되어버린 스마트폰
. 허구와 진실이 공존하는 이율배반의 세상
. 가상 세계를 넘어서, 현실에 집중하기
3. ‘알고리즘’이라는 새로운 디지털 식민지
. 알고리즘, 조용히 우리의 삶을 잠식하다
. 알고리즘의 얼굴 없는 지배자
. 행위의 패턴으로 짜인 지배 시스템
. 우리 머릿속의 새로운 주인들
4. 우리는 어떻게 ‘트루먼 쇼’의 세상에 발을 들이게 되었을까
. 21세기의 새로운 ‘파놉티시즘’
. 예측할 수 없는 타인의 마음
. 언제 어디서든 감시당하는 현대 사회
. 드러나는 것에만 머물러 있는 세계
5. 사이버 폭력, ‘키보드맨’은 어떻게 탄생했는가?
. 잔인함과 포악함, 진정한 현대성의 뿌리
. 맥락을 잃은 정보의 진실
. ‘탈맥락화’된 시대, 대중의 논리적 판단은?
. 정서의 파도 속을 헤매는 인터넷 민중
2장 현대인의 공허, 그리고 그 너머
6. 다수가 만든 외모의 올가미
. 얼굴, 현대 사회의 비언어적 언어
. 미용 산업이 만든 ‘표준화된 아름다움’
. 은밀하게 이뤄지는 다수의 폭정
. 매력적인 사람의 사회적 비밀
7. 훌쩍 떠나고 싶은 여행지는 어디인가
. 타지를 향한 현대인의 동경
. 텅 빈 마음을 채우려는 ‘도장 깨기’ 식 여행
. 유목민의 파라다이스
. ‘주변’이 없는 삶, 어디서 길을 잃었을까
8. 집은 많지만 내 집은 없는 현실
. 집은 생산라인의 엔진이다
. 도구가 되어버린 현대인의 쉼터
. 우리가 짊어진 시대의 짐, 집
9. 상아탑, 교육산업이 가공업으로 변한 이유
. 아름답고도 잔인한 오해에 관하여
. 기괴하고 잔혹한 대학의 현실
. 비의도적인 결과가 낳은 교육기관 현장
. 우리가 풀어야 할 시대적 과제
3장 존재의 가벼움, 관계의 무거움
10. 필요와 욕망 사이, 소비가 묻는 질문
. 누가, 어디에서 쏘아대는 화살일까
. 생산과 소비, 현대 사회의 이란성 쌍둥이
. 느린 혁명이 가져온 결핍과 풍요
. 소비주의로 점철된 현대 사회의 민낯
11. 고령화 사회, 당신의 부모를 얼마나 알고 있는가
. 이미 시작한, 곧 다가올 미래
. 고령화와 시스템의 위기
. 개인적인 선택이 된 출산
. 닫혀버린 관계, 세대의 틈
12. 현대 사회에 우울증이 점점 더 많아지는 이유
. 우울은 인류 사회의 전염병이다
. 마음의 질병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시대
. 긴장감, 현대 문명의 파생품
. 내가 사는 곳에 살아가는 타인
13 우리는 왜 ‘미니멀리즘’을 실천하지 못하는가
. 시시때때로 밀려오는 그리움
. 무의식중에 자꾸만 하게 되는 비교
. 삶의 여정이 오롯이 새겨진 나, 그리고 우리
. 인간은 과거를 짊어지고 앞으로 ‘기어가는’ 존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