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인간 이전부터 살아왔고, 아마 이후에도 살아남을 미생물
“어쩌면 인간은 미생물에 종속된 존재가 아닐까?”
미생물은 지구에 최초로 나타난 생명체였다. 인류가 등장하기 전부터 수십억 년 동안 지구를 뒤덮은 채 수많은 생물과 더불어 영향을 주고받아 왔고, 우리도 모르는 사이 인간을 부단히 바꾸며 인류 역사 속 격변의 순간에 자리해 왔다. 저자가 이 책에서 “어쩌면 인간은 미생물에 종속된 존재가 아닐까?” 하고 질문을 던지는 배경이다.
사실 눈에 보이지 않던 존재 미생물의 위력을 인간이 알아차린 역사는 길지 않다. 현미경으로 최초 그 존재를 관찰한 건 갓 400년, 감염병의 원인을 파헤쳐 예방을 모색한 건 갓 300년, 치료법을 찾아 항생제를 발견한 역사도 이제 막 100년이 되었을 뿐이다. 그동안 몰랐을 뿐, 미생물의 영향력이 얼마나 광범위한지에 대한 연구는 하루가 다르게 늘어가고 있다.
현대 과학의 발전에 따라 미생물은 인간에 관해 더 많은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역사 속 미생물의 활약을 넘어 고유전체학 등 최신 과학기술이 인류 진화에 관해 새로이 밝혀낸 사실, 포스트 항생제 시대에 우리에게 남겨진 숙제, 마이크로바이옴이라는 최신 미생물학이 생명·면역·건강에 관해 던지는 새로운 통찰 등, 포스트 팬데믹 시대를 지나는 지금 우리에게 꼭 필요한 질문들을 짚어주는 이 책이 더 많은 희망의 불씨가 되기를 바란다
■ 저자
현창윤
현창윤 변호사
現 덕명 법률사무소 대표변호사
법무사관 82기(군법무관, 육군대위 전역)
검찰 실무과정 수료
유튜브 현변TV 운영
SBS 라디오 김영철의 파워FM 출연
유튜브 직방TV 현창윤 변호사의 법률의신 출연
유튜브 MBC 14F 일사에프 현변의 생존법률가이드 출연
김건우
김건우 변호사
現 덕명 법률사무소 대표변호사
법무사관 82기(군법무관, 육군대위 전역)
검찰 실무과정 수료
국방부 실무과정 수료
■ 차례
들어가는 글 포스트 팬데믹 시대, 미생물을 통해 보는 인간의 미래
1. 인류의 진화에는 미생물이 있었다? : 술과 효모
‘술 취한 원숭이 가설’, 인간의 탐닉을 추적하다
2022 올해의 미생물로 효모가 선정된 이유는?
효모의 변이를 보면 인류의 맛 계통도가 보인다
2. 최초의 민주주의를 세균이 무너뜨렸다고? : 아테네 역병과 살모넬라
2,400년 만에 드러난 고대 그리스 몰락의 복병
고유전체학, 아케네 소녀 미르티스의 사인을 밝히다
살모넬라 엔테리카가 가져온 민주주의의 잠복기
3. ‘콜럼버스의 교환’은 왜 ‘면역 전쟁’이라 불릴까? : 천연두바이러스와 매독균
인류가 처음으로 지구상에서 질병을 내쫓은 기술
유럽에선 익숙한 미생물이 왜 아메리카에선 파괴적 무기가 되었나?
우리가 박멸한 바이러스가 생물무기로 되살아난다면?
4. 사람마다 시대마다, 결핵은 왜 잠복기가 다를까? : 산업혁명과 결핵균
결핵은 어떻게 ‘자본의 필수 조건’이 되었나?
서서히 죽어가는, 낭만적 질병에서 불쾌한 질병으로
잠복기의 균형을 깨뜨리고 인간이 불러낸 질병
5. 최초의 역학조사는 도시를 어떻게 바꿔놓았나? : 수도 펌프 손잡이와 콜레라
‘치료받지 않을 권리’를 선동한 무시무시한 미생물
콜레라가 ‘최고의 위생 개혁가’라고?
분자역학, 반복 유행하는 콜레라의 전파 경로를 뒤쫓다
6. 전쟁보다 사람을 많이 죽인 바이러스는? : 제1차 세계대전과 인플루엔자
전쟁 막바지를 습격한 팬데믹의 물결
스페인 독감은 왜 젊은 사람에게 유독 치명적일까?
항원변이, RNA를 유전물질로 이용하는 것의 위험성
7. 포스트 항생제 시대, 미생물과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 페니실린과 푸른곰팡이
한 나라 대통령과 평범한 병사들의 생과 사를 가른 발견
곰팡이 속 미생물이 치료제가 되기까지의 여정
세균에게 공격받고, 세균으로 치료하다
8.세계 사망 원인 1위 모기를 세균으로 퇴치한다고? : 말라리아와 황열병, 그리고 볼바키아
인간과 모기와 미생물이 맞물린 열대열원충의 출현
세균보다 작은 황열바이러스가 바꾼 역사적 순간들
볼바키아, 곤충의 성생활까지 조종하다
9. 미생물 생태계를 보면 인간 특성이 보인다? : 아이스맨에서 마이크로바이옴까지
유전체학이 외치에 관해 밝힌 새로운 사실들
마이크로바이옴에서 건강의 답을 찾다
건강, 성격, 행동까지…… 인류는 미생물에 종속된 존재일까?
10. 미생물은 의료의 모습을 어떻게 바꿀까? : 면역항암요법과 세균 매개 암 치료법
세균으로 종양을 치료하는 면역항암요법의 원조
리스테리아균의 독소로 췌장암을 치료하는 역설
분변 미생물 이식술, 씨디피실 감염의 치료 가능성을 열다
나가는 글 결국 인간의 몫이다
감사의 글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