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우리의 식탁을 점령해버린 GMO의 위협에 당당하게 맞서
“나부터 우리 밥상을 혁명하자!”
이 책은 강수돌 교수와 함정희 대표 두 사람이 2021년 봄 여러 차례의 대화를 통해 GMO 콩의 문제, 우리 밥상의 문제, 우리 콩으로 만든 건강식품(쥐눈이콩마늘청국장환), 한국의 식량자급률, 초국적기업 주도의 ‘식량의 제국’ 문제, 개인 건강도 살리고 농촌 건강과 사회 건강도 살리는 문제 등에 대해 대화한 기록이다.
함정희 대표는 남편과 함께 1980년대부터 20년 이상 수입 콩으로 두부와 된장, 청국장을 만들어 판매해 왔다. 사업체는 왕성하게 운영되었고 남편은 수입콩협회 이사장이었다. 그러던 중 2001년 무렵 GMO 콩의 위험성에 대한 강의를 듣고 곧바로 ‘수입 콩으로 돈을 버느니 우리 콩 독립운동을 해야겠다’는 다짐을 하고, 당시 수입 콩보다 열 배나 비싼 우리 콩으로 두부와 된장, 청국장을 만들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겪은 남편과의 갈등, 사업상의 어려움, 그 와중에도 쉬지 않은 학업, 10년 남짓 운영한 유기농 식당, 연구 끝에 만들어낸 쥐눈이콩마늘청국장환(쥐마청)에 대한 함정희 대표의 이야기에는 순전함과 열정이 가득 차 있다.
도무지 수지가 맞지 않는 우리 콩으로 좋은 음식을 만드는 사투의 과정이 눈물겨운 한 편의 드라마처럼 보이지만, 여기에 그치지 않고 GMO 콩 문제에서 시작된 위기의식을 우리 농산물, 우리 농업, 우리 식탁의 위기까지 시선을 넓혀 이야기를 펼쳐나간다. 이미 익숙해져서 별 문제의식 없이 넘기기 쉬운 GMO 식품의 문제점과 여기에서 파생된 근본적인 식량 문제까지 아우르는 두 사람의 대화는 우리 삶에서 건강한 음식이 얼마나 중요한지 일깨우고, 나아가 왜 ‘밥상 혁명’을 해야 하는지 조목조목 알려준다.
■ 저자
함정희
함씨네토종콩식품 대표.
전주 성심여고를 졸업하고 전주대학교에서 경영학을, 고려대 경영정보대학원에서 경영학을 공부했습니다. 2021년 원광대 대학원에서 보건행정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가장 한국적인 콩 발효식품을 연구하여 ‘쥐눈이콩마늘청국장환’(쥐마청)을 개발했습니다. 토종 콩 지키기에 청춘을 바쳐 ‘우리 콩 독립군’이라 불리며, 토종 콩을 통한 발효식품 세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018년 ‘동탑산업훈장’을 받았고, 2019년 (사)대한민국노벨재단으로부터 ‘노벨생리의학상’ 후보 인증을 받았습니다.
강수돌
전 고려대 교수. 텃밭 농부. 1961년 경남 마산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경영학과에서 공부하던 중, 돈벌이 경영이 아니라 ‘살림살이 경영’이 필요하다고 느껴 대학원에 진학, 학문의 길로 들어섰다. 1994년 독일 브레멘대학교에서 노사관계 분야의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5년부터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이주노동 및 공공부문 노사관계를 연구했고, 1997년부터 2021년까지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교수로 재직했다. 학문의 길에 들어선 이후 지금까지 경영, 경제, 노동, 심리, 교육, 생태 등 다양한 분야를 융·복합적으로 연구해왔고, 최근에는 경영·사회 시스템의 건강성 회복에 관심을 두고 있다. 신안리 마을 이장을 하며 고층 아파트 반대 투쟁도 했고, 현재는 세종환경운동연합 난개발방지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 『촛불 이후 한국사회의 행방』『경쟁 공화국』『여유롭게 살 권리』『중독의 시대』『대통령의 철학』『행복한 삶을 위한 인문학』『자본을 넘어 노동을 넘어』『경영과 노동』『노사관계와 삶의 질』『자본주의와 노사관계』『행복한 살림살이 경제학』『팔꿈치 사회』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세계화의 덫』『글로벌 슬럼프』『 중독 조직』『중독 사회』『더 나은 세상을 여는 대안 경영』 등이 있다.
■ 차례
프롤로그
1부 우리 콩 독립군 탄생기
1 좋은 강의 하나가 ‘인생 내비’를 바꾸다
2 한 가정에 일본군과 독립군이 공존하다
3 속죄의 마음으로 ‘함씨네밥상’을 차리다
4 고졸 공무원이 콩 박사가 된 이야기
2부 좋은 음식과 건강 이야기
1 세계보건기구가 발표한 발암물질
2 우리 밥상, 얼마나 건강한가
3 왜 우리 콩, 발효 콩이 좋은가
4 좋은 음식이 보약이다
3부 우리 농업과 초국적기업
1 우리 콩과 한국 농업의 현실
2 한국의 식량자급률이 위험하다
3 ‘식량의 제국’에서 어떻게 해방될까?
4 초국적기업에 장악된 우리 밥상
4부 우리 콩이 백신이다
1 우리 콩이 백신인 까닭
2 함씨네가 개발한 ‘쥐마청’
3 노벨상 후보가 된 사연
4 우리 농업을 살리는 민주정책
5 비즈니스가 아니라 공공정책으로
에필로그
부록 1. 함씨네토종콩식품, 쥐마청으로 몸이 좋아진 사례들
부록 2. 좋은 농산물로 건강한 식품을 생산하는 사람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