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사람의 마음과 행동을꿰뚫어보는 행동과학 심리입문서!
사람은 모름지기 자신의마음이나 행동에 관해서라면 그 누구보다 자기 자신이 가장 잘 알고 있다. 분별력이 생기면서부터 현재까지 자신이 무엇을 생각하고 어떤 행동을해왔는지, 그리고 지금 무엇을 느끼고 생각하는지 자기 자신보다 더 잘 아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심리학이 다른 학문과 차별되는 점이 바로 여기에있다.
다른 학문은 대개 그 주제나 문제에 관해 전문가가일반인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지식과 정보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심리학은 관심 대상이 사람의 마음과 행동인 만큼 그 당사자보다 심리학자가 더 많이알고 있다고 장담할 수가 없다. 그런 탓에 심리학을 가리켜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을 연구하는 허울 좋은 학문’이라거나 ‘심리학자 나부랭이보다내 마음은 내가 더 잘 안다’고 말해도 두 팔 걷어붙이고 반박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전혀 몰랐던 나 자신에 관한 궁금증과 삶이나 일상생활에서 겪게 되는 갖가지 의문점은 이 책을 읽는 동시에 이미 해답을얻게 될 것이다.
■ 저자
와타나베요시유키 - 1962년생으로 1985년 도요(東洋) 대학 사회학부를 졸업하고, 1990년 도쿄(東京) 도립대학 심리학 석사과정을 마쳤다. 신슈(信州) 대학 조교와 홋카이도(北海道) 의료대학 전임 강사를 거쳐 현재는 오비히로 축산대학의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전문 분야는 ‘성격심리학’과 ‘심리학론’이다. 저서에는『올댓 혈액형』『성격은 바뀐다, 바꿀 수 있다』『성격의 변용과 문화』『심리학만큼 흥미로운 학문은 없다』 등이있다.
사토 타츠야 -1962년생으로 도쿄 도립대학과 대학원을 졸업했다. 도쿄 도립대학 조교와 후쿠시마(福島) 대학 행정사회학부 조교수를 거쳐 현재는리츠메이칸(立命館) 대학 문학부 심리학과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전문 분야는 ‘심리학론’과 ‘사회심리학’이다. 저서에는 『지능지수』『일본 심리학 통사』『올댓 혈액형』『성격은 바뀐다, 바꿀 수있다』 등이 있다.
■ 역자 정경진
상명대학교 일문과를 졸업하였으며, 숙명여대 디자인대학원 휴학 중이다. 대학재학 중 구마모토현립대학에서 교환학생으로수학하기도 하였다.. 현재는 (주)엔터스코리아 소속 일본어 전문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 차례
여는글
프롤로그 - 심리학으로의 초대: 심리학이란 어떤 학문인가?
행동은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
심리학은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기위한 학문
목적과 대상에 따라 분류한 심리학
심리학의 무한한 매력
1장 과연, 성격은 바꿀 수 있을까?
01 성격은 정말로 바뀌지않을까?
02 환경 변화를 기회로 삼아 성격을 프로듀싱한다
03 자아를 찾는다는 것은 있지도 않은 것을 찾는 짓이다
04 옷을갈아입듯 행동 모드도 바꿀 수 있다
05 인간관계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나를 발견한다
06 네트워크적 활동으로 성취감이살아난다
07 성격 테스트로 나를 얼마나 알 수 있을까?
2장 인간관계는 어떻게 좋아질까?
01 좋고 싫은 감정은 왜 생기는 걸까?
02 상황이감정을 키운다
03 첫눈에 반했다는 말을 믿어도 될까?
04 좋고 싫은 감정이 사라지는 메커니즘은?
05 그 사람이 나를싫어한다는 생각은 혼자만의 착각일지도 모른다
06 좋아하는 감정을 키우면 두려움이 사라진다
07 마음을 사로잡으려면 상대를 철저히기쁘게 하라
08 궁합이란 것이 과연 존재할까?
09 궁합 따위에 신경 쓰지 마라
3장 의욕은 어떻게 북돋울 수 있을까?
01 무엇이의욕을 빼앗을까?
02 원하는 결과를 낳은 행동은 계속 이어진다
03 오퍼런트 조건형성은 자연도태된다
04 어떤 요소가강화인자나 혐오자극으로 작용할까?
05 자기강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어른이 되었다는 증거이다
06 행동 강화로 성격이형성된다
07 어떻게 해야 의욕을 일으킬 수 있을까?
08 억지로 하면 의욕도 생기지 않는 법이다
09 샐러리맨은 왜 의욕을잃는 걸까?
10 주부, 더 이상은 못 해먹겠어!
11 학교는 왜 지루한 곳이 되었을까?
12 어떻게 해야 의욕을 되살릴 수있을까?
13 어떻게 보람을 찾아낼까?
14 일의 즐거움이 노후의 삶을 행복하게 만든다
4장 마음의 움직임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01연애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속박하는 연애와 해방하는 연애
02 폭력적인 방송과 게임이 아이를 폭력적으로 만든다?
03 자살,거기에 담긴 메시지
04 남의 기억이 더 정확하다
05 중요하면서 동시에 불명확한 이야기가 소문이 된다
06 거짓말도 잘만활용하면 생활의 윤활유가 된다
07 나는 다중모드? 아니면 다중인격?
08 마음의 병을 이해하자
09 나를 치유해주는것은?
10 고민 상담은 친구에게? 아니면 카운슬러?
에필로그 - 심리학 맛보기: 심리학의 역사와 미래를 되짚다
01 심리학사
02 정신분석학
03 행동주의
04심리학에 임하는 자세
05 심리학을 생활 속으로